뻐꾸기는 생물학적 부모를 결코 만나지 못한다. 양부모만 접할 뿐이며, 양부모는 다양한 종 가운데 어떤 종이든 될 수 있고, 자기 종의 노래를 부르므로, 새끼 뻐꾸기는 그 노래를 배워서는 안 된다. 그래서 뻐꾸기 수컷의 노래는 유전적으로 새겨져야 하며, 따라서 매우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단순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Richard Dawkins | 이한음 옮김
《불멸의 유전자》
우리의 조상은 태초부터 숲에 사는 사람들이었다. 현재 우리는 블록주거에서 살고 있다. 이것만으로도, 먼지로 가득 찬 집 안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자연의 푸르름으로 나가고자 하는 거부할 수 없는 본능이 설명된다. 이는 자연에 굶주린 도시 거주자들에게 모든 나무들, 작은 풀밭, 화분이 왜 신성한 것인지를 설명한다.Camillo Site | 김기준 옮김
《예술적 원칙에 따른 도시설계》
Our DNA, as it turns out, is not a linear, step-by-step assembly manual. It’s more like a wiring diagram, a network of inter-acting connections. Each organism starts out at the beginning of its life looking roughly the same—a single cell ready to grow—and many of the genes inside that cell are roughly the same across the animal kingdom. Higher-level controls in each cell determine which steps of organismal construction are ignored and which are followed, as well as when they are followed, in what order, and how many times. Slight changes in these high-level controls can lead to extreme novelty: a new number of limbs, a new body shape, a new kind of reptile scale that’s actually a feather.Danna Staaf
《Monarchs of the Sea》
지구상에는 현재 약 200여 종의 개미들이 각기 크고 작은 버섯농장들을 경영하고 있다. 이들 버섯개미(fungus ants) 중에는 동물의 분비물이나 썩은 시체들 위에 버섯을 키우는 것들도 있고 잎꾼개미들처럼 나뭇잎을 거둬들여 버섯농장을 경영하는 것들도 있다. 필자가 코스타리카의 라셀바 지역에서 관찰한 앱테로스티그마(Apterostigma) 버섯개미는 아이들 주먹만한 곰팡이 주머니를 만들어 나무 둥치에 매달고 그 속에서 살고 있었다. 주머니의 중간쯤 작은 구멍을 뚫고 그리로 동물 찌꺼기를 물어들여 버섯을 기르는 것이었다.최재천
《개미제국의 발견: 소설보다 재미있는 개미 이야기》
As the material stuff from which all living bodies are made, we have in another sense been around since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e matter in the bodies of all lifeforms, including, of course, mammals like us, can be traced to the carbon, nitrogen, oxygen, and other elements that were made in the supernova explosions of stars.Lynn Margulis
《Symbiotic Planet》
Plants and fungi need more than a source of energy. Water and minerals must be scavenged from the ground — full of textures and micropores, electrically charged cavities and labyrinthine rot-scapes. Fungi are deft rangers in this wilderness and can forage in a way that plants can’t. By hosting fungi within their roots, plants gain hugely improved access to these sources of nutrients. They, too, get fed. By partnering, plants gain a prosthetic fungus, and fungi gain a prosthetic plant. Both use the other to extend their reach. It is an example of Lynn Margulis’ ‘long-lasting intimacy of strangers’. Except that they’re hardly strangers any more.Merlin Sheldrake
《Entangled Life》
‘숲의 버터’라 불리는 아보카도 재배에는 무척 많은 물이 필요하다. 또한 아보카도가 토양의 양분을 전부 빨아들이기 때문에 한번 아보카도를 기른 땅에서는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가 어렵다. 칠레는 아보카도를 위해 자신들의 생활용수와 식량 생산을 희생해온 셈이다.斎藤幸平 | 김영현 옮김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
이 그물망 울타리 안에, 숲 전체의 기억으로 남게 되는 잎들이 걸려든다. 그것은 바람에 날려 쌓인 연한 빛깔의 타원형 너도밤나무 잎이다.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뻗어 있는 홈이 잎의 타원 모양을 더욱 두드러지게 만든다. 색상은 균일한 밝은 갈색이다. 일순간 덤불에 매달린 카드처럼 보이던 잎들은, 곧 숲 전체의 바닥을 영원히 뒤덮으며 누워, 아주 약간의 바람에도 반짝반짝 몸을 들썩이면서 어디서나 변함없는 게임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것이다. 자신의 유일한 색상인 밝은 갈색을 빛내면서.Peter Handke | 배수아 옮김
《세잔의 산, 생트빅투아르의 가르침》
Every autumn the woods of North America, northern Europe, and northern Asia are filled with the excited chips and chirps and chucks of chipmunks as they rustle through the fallen leaves, gathering acorns, mushrooms, buds, and many seeds. Tamias, the Greek name for chipmunk, means “storer,” and the harvest from the forest floor will provision the storage bins that surround each chipmunk’s cozy sleeping chamber.James B. Nardi
《Life in the Soil: A Guide for Naturalists and Gardeners》
The tags designate the names of the collected plants. The dossiers, files, and folders shelter not text—forms or mail—but plants, the very plants that the botanist removed from the forest, that she dried in an oven at 40 degrees Celsius to kill the fungi, and that she has since pressed between newspapers.
Are we far from or near to the forest? Near, since one finds it here in the collection. The entire forest? No. Neither ants, nor trapdoor spiders, nor trees, nor soil, nor worms, nor the howler monkeys whose cry can be heard for miles are in attendance. Only those few specimens and representatives that are of interest to the botanist have made it into the collection. So are we, therefore, far from the forest?Bruno Latour
《Pandora’s Hope》
카메라가 선호하는 모티프인 나뭇잎은 무대에 올려지기 쉽기도 하지만, 또한 무한한 양으로 생겨난다. 바로 여기에 사진적 접근과 과학적 연구 사이의 유사점이 있다. 이 둘은 영원히 그 전체에 도달할 수 없는, 고갈되지 않는 우주를 탐지한다.Siegfried Kracauer | 김남시 옮김
《과거의 문턱》
Early one morning the wind blew a spider across the field. A thin, silky thread trailed from her body.
The spider landed on a fence post near a farm yard… and began to spin a web with her silky thread.Eric Carle
《The Very Busy Spider》
손상된 정도가 가벼우면 거미는 이를 수리하지만 보통은 기본 골격을 갖춘 완전한 그물을 다시 만든다. 이때 거미는 오래된 거미줄을 먹는데 이 거미줄은 매우 빠른 속도로 재활용된다. 즉 귀중한 단백질원을 허비하지 않는 것이다.
거미는 배가 고픈 경우에는 먹이를 잡아 빨리 배를 채우기 위해 그물이 손상되는 즉시 다시 만들지만, 배가 고프지 않은 대부분의 경우는 먹이의 힘이 빠질 때까지 부서진 그물을 수리하지 않고 일정시간 그냥 내버려 둔다.임문순, 김승태
《거미의 세계: 거미, 거미줄 그리고 인간》
거미 중에는 곤충이나 새똥, 풀, 짚, 나무의 혹과 비슷하게 생긴 거미도 있고, 형태나 행동이 개미와 흡사한 거미도 있다. 꽃 안에서 잠복하는 게거미는 먹잇감인 벌이나 등에가 꽃으로 날아오기를 기다리는데, 들키지 않으려고 꽃 색깔에 맞춰 몸 색깔을 바꾼다. 이 밖에 수목의 파란 잎사귀 위에서 생활하는 줄연두게거미는 몸 색깔이 옅은 녹색이고, 나무껍질 위를 걸어다니는 나무껍질거미의 몸 색깔이나 무늬는 나무껍질과 구분이 안 될 정도로 똑같다.大崎茂芳 | 김현영 옮김
《거미의 법칙: 거미에게서 배우는 자연주의 처세법》
“사람들 생각과 달리, 사람을 무는 거미는 흔치 않아. 무서운 독을 지닌 거미는 더 드물고. 우리는 진짜로 위험하다고 느낄 때만 물어. 사람을 먹는 취미는 전혀 없다고, 우웩! 모기는 사람을 물어서 피를 빨아 먹지만, 나는 모기를 먹어. 하루살이, 진디, 바퀴벌레, 진드기처럼 사람을 괴롭히는 작은 벌레를 잔뜩 잡아먹는단 말이야. 그러니까 사람들은 우리한테 고마워해야 해!”Émilie Vast | 박나리 옮김
《꿀벌과 거미를 지켜 줘》
밀원 주위에서 ’윙윙거리는 비행‘을 한다고 해서 뒤따르는 벌들이 청각적으로 그러한 음향 신호를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꿀벌에게는 청각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비행은 아주 눈에 잘 띄어 운동에 예민한 꿀벌의 시각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윙윙거리는 비행음은 난기류를 만들어내는 꿀벌의 날갯짓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효과인 듯하다. 꿀벌이 만들어내는 난기류는 마치 배가 수면에 남기는 흔적이나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비행운(공기소용돌이)과 비슷하게 얼마 동안 공기 중에 그 흔적을 남긴다. 따라서 이 공기소용돌이에 들어 있는 나사노프샘의 페로몬이 화학적 유도 수단으로서 신참내기 수집벌들을 돕는 것으로 추정된다.Jürgen Tautz | 유영미 옮김
《경이로운 꿀벌의 세계: 초개체 생태학》
In reality, the vast majority of bee species on earth live solitary lives. A single female constructs her own nest, defends it against intruders, parasites, and predators, and forages for pollen, nectar, or floral oils as food for her offspring. While some solitary bees nest in dense aggregations of hundreds to thousands of nests, each nest is occupied by just one female, and every female is both worker and queen throughout her life. While they are less conspicuous and well-studied than social bees, solitary bees are fascinating in their own right. Solitary bees exhibit extraordinary diversity in morphology, mating behavior, life history, nest architecture, foraging behavior, and host-plant associations. They are far more abundant than social bees in certain environments (deserts), and they have evolved remarkable adaptations for surviving in these harsh and unpredictable habitats.Bryan N. Danforth, Robert L. Minckley, John L. Neff
《The Solitary Bees: Biology, Evolution, Conservation》
Nest design and other habitats vary, but the same basic events that make up an orchard mason’s life play out in a similar way for nearly all the world’s solitary bees. Some species dig holes in hard-packed soil or sand; others use hollow twigs, pinecones, or the grooves in tree bark. I’ve found bees nesting in compost heaps, sidewalk cracks, firewood, rock piles, rolled-up umbrellas, and the notches in a block of surfboard wax. There is an Indonesian bee that nests inside active termite mounds, and one in Iran that glues together elaborate vases of pink and purple flower petals. Over two dozen European and African species nest exclusively in the abandoned shells of snails, and at least two North American varieties make their homes in desiccated cow pies. But regardless of where they do it, all of these bees follow the same ancienct cycle of emergence, mating, nest construction, provisioning, and egg-laying. And, like masons, they all play host to a range of cuckoos and other parasites, meaning that any given nest might produce multiple species of bees as well as wasps, flies, and even beetles. While the solitary lifestyle is clearly successful, it is also perilous. The constant threats of parasitism and predation may help explain the evolution of another defining bee characteristic: not all of them choose to live alone.Thor Hanson 《Buzz》
나는 시골도, 지방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의 이상은 아주 큰 도시 안에 있는 외지고 대단히 비밀스러운 공간입니다. 그래서 파리는 나에게 맞습니다. 복잡한 곳과 한가한 곳이 빠르고 정확하게 바뀌는 도시. (시골 같은) 생제르맹 데 프레와 (그 몇 미터 거리에) 내가 사는 거리 사이에 있는 생쉴피스 광장은 장조 도에서 올림 단조 파로 넘어가는 것만큼이나 어렵고 성공적인 하나의 변조입니다. 혹은 전자의 것과 대단히 흡사합니다만, ‘잠행’의 환상도 있습니다. 어느 대도시 속으로 ‘잠행하기,’ 순식간에 아주 잘 아는 동네에 다시 출현하기. (도쿄는 이런 흔쾌함에 알맞습니다.) [이보다] 더 유쾌한 것은 없습니다. 파리의 아주 다른 한 동네에 있는 호텔에 가서 보름 동안 숨어 지내는 환상 같은 것입니다. 사라지기, 하지만 아주 가까이에서.Roland Barthes | 변광배 옮김
《롤랑 바르트, 마지막 강의》
되도록 의미를 가볍게 하고 그것을 각자가 마음대로 발전시켜 갈 수 있도록 사물의 의미를 던지는 것이 필요하다.이어령 《하이쿠의 시학》
이끼와 같이 가장 작고 미세한 풀에 피는 꽃, 길가에 베 놓은 마름에 피어나는 꽃, 산길 바위 틈새에 핀 제비꽃 등은 감성적인 허무의 미학을 넘어 생명과 조화의 언어로 나타나고 있다. 작은 풀꽃이 밟힐까 두려워하는 시심詩心은 땅위의 생명 있는 것끼리의 연민의 정과 찰나를 사는 존재들 간의 교감의 순간을 나타낸 것이다.유옥희 《하이쿠와 일본적 감성》
그것은 경이였다. 그것은 하나의 발견이었다. 꽃이 그토록 아름다운 것인 줄은 그때까지 정말 알지 못했다. 가까이 서기조차 조심스러운, 애처롭도록 연약한 꽃잎이며 안개가 서린 듯 몽롱한 잎새 그리고 환상적인 그 줄기하며가 나를 온통 사로잡아버렸던 것이다.법정 스님
《무소유 無所有》
La miniature est un exercice de fraîcheur métaphysique; elle permet de modifier à petits risques. Et que repos dans un tel exercice de monde dominé! La miniature repose sans jamais endor-mir. L'imagination y est vigilante et heureuse. Mais pour nous livrer en bonne conscience à cette métaphysique miniaturée, nous avons besoin de multiplier les appuis et de collectionner quelques textes.Gaston Bachelard
《La poétique de l’espace》
극단적으로 규모가 큰 것이 숭고한 것처럼 극단적으로 작은 것도 어느 정도는 숭고하다. 물질의 무한한 분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동물의 세계를 살피면서 엄청나게 작아서 우리의 감각이 아무리 꼼꼼하게 살펴도 분간할 수 없는 유기체적 존재까지 추적해 들어갈 때나, 훨씬 더 작은 동물들을 고찰하게 되어 이제는 감각뿐만 아니라 상상력도 따라갈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우리는 이 작디작은 세계의 경이로움에 놀라 어리둥절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극단적으로 작은 것이 가져다주는 효과를 거대한 것이 가져다주는 효과와 구별할 수 없다. 나누기는 더하기와 마찬가지로 무한하게 계속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완전한 개체의 관념은 더 이상 거기에 아무것도 더할 수 없는 완전한 전체의 관념만큼이나 도달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Edmund Burke | 김동훈 옮김
《숭고와 아름다움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이사무는 달팽이 껍질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다시 나선 밖으로 걸어 나왔을 때, 그는 예전의 이사무가 아니었습니다.Emily Hughes | 윤지원 옮김
《달팽이》
달팽이는 주로 6~8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며, 밤보다는 낮에 그리고 비가 오는 날에 짝짓기를 한다. 달팽이가 비가 오는 날을 좋아하는 이유는 짝을 만나기 위해 먼 곳까지라도 이동을 해야 할 때 땅이나 나무가 젖어 있으면 쉽게 기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달팽이는 짝짓기 상대를 만나면 발의 앞부분을 들어 발바닥이 보이게 하고 상대방의 입과 더듬이를 문지른다. 이러한 행위는 약 30분간 이어지고, 상대방이 짝짓기할 준비가 되었다 싶으면, ‘연시(戀矢)’라고 하는 사랑의 화살을 상대방 몸통의 오른쪽이나 발 부분에 찔러 넣는다.권오길, 이준상 《달팽이는 왜?》
흔히 매미는 성충이 되어 지상에서 일주일밖에 살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유명한 매미학자인 카토(加藤正世, 1956)가 유지매미를 일정 범위 밖으로 도망가지 못하게 해놓고 관찰한 결과 탈피 후 5일 동안 생존한 개체가 가장 많았고, 7~10일 정도 생존한 개체가 약간 있었으며, 10일 이상 생존한 개체는 거의 없었다는 실험 결과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이러한 인위적인 공간 안에서의 관찰은 매미 성충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어 수명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실제 자연 속에서의 성충 수명은 더 길 것이라 생각한다. 매미를 산 채로 집 안에 가두어 놓으면 먹이가 있더라도 얼마 안 가 죽는 것을 볼 때 매미는 제한된 환경에서는 죽음에 이를 정도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이영준
《매미박사 이영준의 우리 매미 탐구》
어디에 도달하고 싶은지, 목적지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조차 상상 할 수 없었고, 한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도 생각해본 적 없었다. 특히 여름방학에는 끝도 없이 차고 넘치는 액체 상태의 시간 속을 떠다니며 이유도 없이 다른 나라를 방황하면서도, 쓸데없는 짓이라는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多和田葉子 | 이영미 옮김
《용의자의 야간열차》
혼자 산책하면서 때때로 맛보는 도취감과 황홀감은 나를 박해한 자들 덕분에 누리게 된 쾌락이다. 그들이 없었다면 나는 내 안에 품고 있던 보물들을 발견하지도 알아차리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 풍성한 보물들 한복판에 있으면서 어떻게 그것을 충실히 기록하겠는가?Jean-Jacques Rousseau | 문경자 옮김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내가 늘 좋아했던 ‘기장’이라는 단어가 걷는 동안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는다. ‘씩씩한’이란 단어도 그렇다. 두 단어 사이에서 어떤 연결점을 찾는 것은 괴로운 일이 되었다. ‘씩씩하다’는 성큼성큼 걷는 것과 관계있고, 기장은 낫으로 수확하는 곡식과 연결된다. 기장과 씩씩하게 걷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울창한 숲이 나타난다.Werner Herzog | 안상원 옮김
《얼음 속을 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