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find myself surrounded by patchiness, that is, a mosaic of open-ended assemblages of entangled ways of life, with each further opening into a mosaic of temporal rhythms and spatial arcs.Anna Tsing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The street keeps moving, and you’ve got to love the movement. You’ve got to find the composition of the rhythm, lift the story from the motion, understand and not regret that all is dependent on the swiftness with which we come into view and pass out again. The pleasure and the reassurance lie precisely in the speed with which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then let go of. No need to clutch. The connection is generic not specific. There’s another piece of it coming right along behind this one.Vivian Gornick
《Approaching Eye Level》

Though her voyage of twelve hundred miles extends from apple to orange, from clime to clime, yet, like any small ferry-boat, to right and left, at every landing, the huge Fidèle still receives additional passengers in exchange for those that disembark; so that, though always full of strangers, she continually, in some degree, adds to, or replaces them with strangers still more strange ; like Rio Janeiro fountain, fed from the Corcovade mountains, which is ever overflowing with strange waters, but never with the same strange particles in every part.Herman Melville
《The Confidence-Man》

지구는 칠십 퍼센트가 물로 뒤덮여 있다고들 한다. 그래서 지구 표면이 매일 다른 모양을 보여주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지하수는 아래에서 지구를 움직이고 바다의 파도들은 해변을 갉아먹고 위에서는 사람들이 암석을 파괴하고 계곡에다가 논을 만들고 바다를 둘러싼다.
그렇게 지구의 모양이 변해간다.
나는 세계지도를 펼친다. 지도 위에는 물의 움직임이 멈춰 있어서 도시들은 항상 같은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도시에서 도시로 그어진 수많은 붉은 선들은 항로와 어망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이 그물에 갇힌 지구의 얼굴들을 매일 지도의 모델에 따라 화장시킨다.多和田葉子 | 최윤영 옮김 《목욕탕》

세계는 고정되어 있다고 우리는 말한다. 말하자면 물에는 물고기, 하늘에는 새, 이런 식이다. 그러나 니제르 강 옆 망그로브 습지에서는 물고기들이 나무에 오르고, 어리둥절해하는 자연학자들에게 추파를 던진다. 자연학자들은 그 물고기들이 물로 되돌아가는지 추적하려고 하지만, 이것은 헛된 시도로 끝나고 만다. 지금도 여전히 뭍으로 기어올라가는 것들이 있다.Loren Eiseley | 김현구 옮김 《광대한 여행》

둔주는 당시 중대하게 인식되었던 두 가지 사회적 현상의 중간 지대에 위치했다. 낭만적 관광여행이라는 미덕과 범죄적 부랑이라는 악덕, 이 양극단의 문화적 관념 사이에 놓여 있었다. 이 주제는 중류층에게는 매우 중요했는데, 하나는 레저 활동이자 환상 충족적 도피이고, 다른 하나는 하층사회에 대한 공포를 표상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현상으로서의 둔주를 놓고 보면, 구체적 이득도 없는 여행을 되풀이하는 것에 흥미가 없는 보통사람들이나, 자신의 환상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거나, 그것도 아니면 환상에 탐닉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계층의 사람에게는 관심거리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도 저도 아닌 일부 사람들에게 둔주는 부자들의 느긋한 관광여행과 범죄적 부랑 사이에서 찾아낼 수 있던 매우 좁은 폭의 선택지였던 것이다.Ian Hacking | 최보문 옮김
《미치광이 여행자》

그 거리는, 이름은 그래도 나돌아 다니기에 대단히 즐거운 곳으로, 언제나 영락한 것들과 신에게 맹세코 진실한 것들로 가득했다. 도로는 하루 종일 빨간색, 파란색, 은색 버스로 아수라장이었다. 그중 하나가 어린 소녀를 들이받았을 때, 벨라콰는 철도를 가로지르는 육교 근처까지 와 있었다. 그녀는 하이버니언 유제품 상회에 빵과 우유를 사러 들른 다음에 도로로 뛰어들었는데, 자기 보물을 들고 자신이 사는 마크 스트리트의 공동주택으로 최단 시간에 돌아가겠다는 천진한 열정에 사로잡힌 탓이었다. 질 좋은 우유가 전부 도로에 쏟아졌고 빵은, 흠집 하나 없이 도로 경계석에 기대 놓인 모습이, 세상에나 마치 두 손이 그것을 집어다가 거기 놓아둔 것 같았다.Samuel Beckett | 윤원화 옮김 〈딩동〉 《발길질보다 따끔함》

전차를 타고 가면서 나는 늘 하던 습관대로 조용히, 내 눈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세부적인 면을 관찰한다. 내가 말하는 세부적인 면이란 사물들, 목소리 그리고 말이다. 내 앞에 앉은 소녀의 원피스를 여러 가지 관점에서 관찰한다. 원피스를 맞은 옷감, 그 원피스를 짓기 위해 투입된 노동—나는 그것을 단순한 옷감이 아니라 한 벌의 옷으로 보기 때문에—그리고 목덜미 부분을 장식한 섬세한 자수에 쓰인 비단실과 수를 놓느라 들인 공을 본다. 그러자 바로 그 자리에서, 마치 경제학 입문서를 펼친 것처럼 공장의 작업 모습이 눈앞에 나타난다. 옷감이 생산되는 공장, 원피스의 목둘레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장식한 검은색 비단실이 직조되는 공장을 본다. 공장의 각 작업실 내부와 기계들, 노동자들, 재봉사들, 내부로 향한 내 시선은 사무실 안까지 들여다본다. 점잖으려고 애쓰는 관리자들과 장부에 기록된 전체 회계내역을 살펴본다. 이뿐이 아니다. 공장과 사무실에서 보내는 그들의 사회적 삶을 넘어, 그들의 가정생활까지도 내 눈앞에 나타난다. … 전 세계가 내 눈에 보인다. 단지 내 맞은편에 갈색 목덜미를 가진 내가 모르는 한 얼굴이, 짙은 초록빛 테두리 장식이 규칙적으로 불규칙하게 들어간 연한 초록색 원피스를 입고 앉아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사회의 삶 전체가 내 눈앞에 나타난다. 그것을 넘어서, 내 앞자리에 앉아 있는 소녀의 유한한 인간의 목둘레에 연한 초록색 천 위로 짙은 초록의 비단실이 진부함의 문의를 복잡하게 짜넣을 수 있도록, 그것을 위해서 일을 했던 모든 이들의 사랑을, 그들의 비밀을(sic), 그들의 영혼까지도 나는 감지한다. 현기증이 난다. 질긴 및짚을 촘촘하게 꼬아 만든 전차의 좌석은 나를 먼 지역으로 실어 나르면서, 스스로 산업지구와 노동자들, 노동자 거주지, 삶의 여정, 현실들, 모든 것으로 모습을 바꾼다. 지쳐버린 나는 기계적으로 전차에서 내린다. 나는 방금 인생 전체를 모두 살아버렸다.Fernando Pessoa | 배수아 옮김
《불안의 서》

그는 들판에서 어떤 남자에게 달려가고 있는 개를 바라보았다. 그다음 그는 더 이상 개를 바라보지 않고 길에서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남자를 바라보았다. 그는 남자 뒤에 어린애가 서 있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그는 자기 눈에 익숙해진 남자와 개를 바라보지 않고, 멀리서 허우적거리며 오고 있는 어린애를 바라보았다. 그러나 허우적거리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어린애의 울부짖음 때문이라는 걸 알았다. 그사이 남자는 개에게 목걸이를 걸었고, 개와 남자와 어린애, 셋은 같은 방향으로 계속 걸어갔다. ‘누구에게 가는 걸까?' 하고 블로흐는 생각했다. 그의 눈앞에는 다른 풍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개미들이 빵 조각에 모여들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이번에도 개미를 보는 대신 빵의 부드러운 부분에 앉아 있는 파리를 보았다. 그가 바라보는 모든 것은 실제로 그의 관심을 끌었다. 풍경들은 자연스럽게 여겨지는 것이 아니라 마치 그를 위해서 특별하게 만들어진 것 같았다. 어딘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 그렇게 만들어진 것 같았다. 그가 바라보는 주위 풍경들은 글자의 형상으로 그의 눈에 확 들어와 박혔다. '호출 부호 같군.’ 하고 블로흐는 생각했다. 지시문 같은! 그가 잠시 눈을 감았다가 다시 떴을 때, 모든 것이 완전히 달라져서 나타났다. 그가 바라본 부분들은 가장자리가 반짝거리고 흔들리는 듯이 보였다.Peter Handke | 윤용호 옮김
《패널티킥 앞에 선 골키퍼의 불안》

워홀의 미술은 폐쇄성과 거리, 친밀함과 소외 사이에 대한 거대한 철학적 탐구를 진행하면서 사람들 사이의 공간에서 돌아다닌다. 고독한 인간들이 흔히 그러하듯 그는 상습적인 비축자였다. 워홀은 물건을 만들고 주위에 모아놓았다. 그것들은 그에게 인간적 친밀감의 요구를 차단하는 장벽이었다. 그는 신체 접촉을 두려워해 외출할 때마다 거의 언제나 카메라와 녹음기를 갑옷처럼 갖추고 나가면서 그것들로 상호 행동을 중개하거나 완충했다. 이른바 연결성의 세기라는 시대에 우리가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잘 조명해주는 행동이다.Olivia Laing | 김병화 옮김
《외로운 도시》

Standing off to one side. Seeing only the world is fragments, there won’t be any other one. Moments, crumbs, fleeting configurations — no sooner have they come into existence than they fall to pieces. Life? There’s no such thing: I see lines, planes, and bodies, and their transformations in time. Time, meanwhile, seems a simpl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tiny changes, a school ruler with a simplified scale — it’s just three points: was, is and will be.Olga Tokarczuk | Tr. Jennifer Croft
《Flights》

이미지는 산발적으로 지나가는 약한 빛(lucciola)이다. 지평은 전체주의의 멈춰진 시간이나 최후의 심판의 종결된 시간 같은, 결정적인 상태의 강한 빛(luce)에 잠겨 있다. 지평, 즉 저편을 본다는 것은 우리를 스치는 이미지들을 보지 않는 것이다. 작은 반딧불들은 우리의 미약한 내재성에 형태와 미광을 부여하고, 강한 빛의 ‘사나운 서치라이트’는 최종적 목적의 초월성 속에서 모든 형태와 모든 미광—모든 차이—을 집어삼킨다. 지평에만 배타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최소의 이미지를 응시하지 못하게 되어버리는 것이다.Georges Didi-Humerman | 김홍기 옮김
《반딧불의 잔존》

Here is the framework, as it’s currently understood. A migrating bird, flapping through the night sky, glances up at the stars. A photon, having left one of those stars millions or even billions of years earlier, enters the bird’s eye and strikes a molecule of a form of cryptochrome, almost certainly a specific variant known as cryptochrome la, or Cryla. This encounter takes place in the retina, probably within a set of specialized vision cells known as double-cones, whose function had heretofore been a mystery. The photon knocks free one of the Cryla’s electrons, kicking that electron into a neighboring Cryla; because they now each have an odd number of electrons, the two molecules are known as a radical pair, and are linked——entangled, in the jargon of quantum mechanics. They are also magnetic, because the lectrons have a property known as spin(which isn’t really spin, in the way you’d picture a top; it’s actually a state known as spin angular momentum, but never mind——let’s not go down too many quantum rabbit holes right now). Such entangled particles are joined regardless of distance, defying classical physics and common sense. They have become, in effect, one thing; if you measure the properties of one——even were they separated by millions of light-years——you could infer the properties of the other.Scott Weidensaul
《A World on the Wing》






I’ve always liked walking around with a camera, hunting for things to take pictures of. Over the years it’s evolved into something of a collector’s obsession. I’m not looking to compete with real photographers for a beautiful composition or the perfect moment, but rather for a simple documenting of things I notice. For that reason I don’t have a fancy camera, preferring to keep a small Canon Powershot on me whenever I can, or if not then an iPhone just about does the job. Over the years these pictures have multiplied into several thousands and with the easy visibility a computer affords I have noticed certain patterns within their number. One of these groups of images is of clever solutions to everyday problems solved with modest resources. For me this instictively human activity is the root of my profession. Without this rigorous practical thinking and the logic of common sense available to all of us, a designer had better keep his pen in his pocket. The more of these situations I gathered the more I enjoyed imagining the circumstances behind their existence. I was reading George Perec’s Life: A User’s Manual at the time, which certainly played a part in me writing these imaginings to accompany the pictures.Jasper Morrison
《The Good Life: Perceptions of the Ordinary》

우리는 어디에선가 살고 있다. 어떤 나라에, 그 나라의 어떤 도시에, 그 도시의 어떤 구역에, 그 구역의 어떤 거리에, 그 거리의 어떤 건물에, 그 건물의 어떤 집에.Georges Perec | 김호영 옮김
《공간의 종류들》

Man kennt eine Gegend erst, wenn man sie in möglichst vielen Dimensionen erfahren hat. Auf einen Platz muß man von allen vier Himmelsrichtungen her getreten sein, um ihn inne zu haben, ja auch nach allen diesen Richtungen ihn verlassen haben. Sonst springt er einem drei, vier Mal ganz unvermutet in den Weg, ehe man gefaßt ist, auf ihn zu stoßen. Ein Stadium weiter und man sucht ihn auf, benutzt ihn als Orientierung. So auch die Häuser. Was in ihnen steckt, erfährt man erst, wenn man an anderen entlang sich bis zu einem ganz bestimmten durchzufinden sucht. Aus den Torbogen, an den Rahmen der Haustür springt in verschieden großen, schwarzen, blauen, gelben und roten Buchstaben, als Pfeil als Bild von Stiefeln oder frischgebügelter Wäsche, als ausgetretene Stufe oder als solider Treppenabsatz ein stumm in sich verbissenes, streitendes Leben an. Man muß auch in der Tram die Straßen durchfahren haben, um aufzufangen, wie sich dieser Kampf durch die Etagen fortsetzt um dann endlich auf Dächern in sein entscheidendes Stadium zu treten.Walter Benjamin
《Moskauer Tagebuch》

Structuring and identifying the environment is a vital ability among all mobile animals. Many kinds of cues are used: the visual sensations of color, shape, motion, or polarization of light, as well as other senses such as smell, sound, touch, kinesthesia, sense of gravity, and perhaps of electric or magnetic fields. These techniques of orientation, from the polar flight of a tern to the path-finding of a limpet over the micro-topography of a rock, are described and their importance underscored in an extensive literature. Psychologists have also studied this ability in man, although rather sketchily or under limited laboratory conditions. Despite a few remaining puzzles, it now seems unlikely that there is any mystic “instinct” of way-finding. Rather there is a consistent use and organization of definite sensory cue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organization is fundamental to the efficiency and to the very survival of free-moving life.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The flaneur has a buzzing, hovering presence, at once visible and unnoticed, not unlike the dozens of Wi-Fi networks crowded into the air we breathe. He is an embodiment of Marcel Duchampt’s concept of the infrathin—a state between states. When asked to define the infrathin, Duchamp claimed it couldn’t be defined, only described: “the warmth of a seat (which has just been left)” or “Velvet trousers / their whistling sound (in walking) by / brushing of the 2 legs is an / infrathin separation signaled / by sound.” The infrathin is the lingering warmth of a piece of paper just after it emerges from the laser printer or the chiming start-up sound the computer makes, signifying its transition from death to life. When composer Brian Eno was commissioned to compose the Windows 95 start-up sound, he had to fulfill the requirements that it be “optimistic, futuristic, sentimental, emotional.” He did that and more, coming up with a three-and-a-quarter-second pocket symphony. Eno, an artist familiar with Duchamp, invented an infrathin genre, “ambient music”—a hovering static music that is barely noticeable—which he intended to act as little more than an atmospheric perfume or tint to a room.Kenneth Goldsmith
《Wasting Time on the Internet》

Image making of any sort, from simple to complex, is the result of the neural devices that assemble maps and that later allow maps to interact so that combined images generate ever more complex sets and come to represent the universes external to the nervous system,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sm.Antonio Damasio
《The Strange Order of Things》

The writer is now producer, publisher, and distributor. Paragraphs are ripped, burned, copied, printed, bound, zapped, and beamed simultaneously. The traditional writer’s solitary lair is transformed into a socially networked alchemical laboratory, dedicated to the brute physicality of textual transference. The sensuality of copying gigabytes from one drive to another: the whirr carnal excitement from supercomputing heat generated in the service of literature. The grind of the scanner as it peels language off the page, thawing it, liberating it. Language in play. Language out of play. Language frozen. Language melted.Kenneth Goldsmith
《Uncreative Writing》

Qu’importe! Je voulais seulement marquer que, si j’ai beaucoup marché depuis ce livre, je n’ai pas tellement progressé. Souvent, croyant avancer, je reculais. Mais, à la fin, mes fautes, mes ignorances et mes fidélités m’ont toujours ramené sur cet ancien chemin que j’ai commencé d’ouvrir avec L’Envers et l’Endroit, dont on voit les traces dans tout ce que j’ai fait ensuite et sur lequel, certains matins d’Alger, par exemple, je marche toujours avec la même légère ivresse.Albert Camus
《L'Envers et l'Endroit》

I once heard about a botanist in Hawaii with a knack for finding new species by getting lost in the jungle, by going beyond what he knew and how he knew, by letting experience be larger than his knowledge, by choosing reality rather than the plan.Rebecca Solnit
《Men Explain Things to Me》

도시에서는 길을 헤매도 그다지 큰일은 아니다. 하지만 숲속에서 길을 잃듯이 도시에서 길을 잃으려면 훈련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거리 이름이 마른 나뭇가지가 똑 부러지는 소리처럼 도시를 헤매는 이에게 말을 걸어주어야 하며, 도심의 작은 거리들은 산골짜기의 계곡처럼 분명하게 하루의 시간을 비추어주어야 한다. 나는 늦게서야 이러한 기술을 터득했다. 그것이 내 학교 노트의 압지에 최초의 흔적을 미로처럼 남겨놓은 꿈을 이루어주었다.Walter Benjamin | 조형준 옮김
《베를린의 어린시절》

즉 거리산보자는 대중 속을 한가로이 걷는 모습을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가면 뒤에는 관찰자의 상승된 주의력이 숨어 있다는 것이다. 수시로 무언가를 발견하려는 눈빛으로 긴장해 있으면서 시인은 대도시의 템포에 적응하는 형식을 키워내게 된다.최성만 《발터 벤야민 기억의 정치학》

내성적이고 사양하는 듯한 릴케도, 이 마음을 펴게 하는 도시 파리에서는 가장 마음을 활짝 열어 놓은 인상을 주었다. 여기서는 그의 작품과 이름이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고, 그는 무명시인일 때 항상 어느 때보다 더 자유롭고 행복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나는 파리에서 그의 두 개의 다른 셋방을 찾아갔다. 두 개 다 검소하고 겉을 꾸며 놓은 데가 없었다. 그러나 곧 그의 지배적인 심미 감각에 의해 독특한 아취와 조용함을 띠고 있었다. 그가 자기 집처럼 아늑하게 지낼 수 있기 위해서는 소란스러운 이웃 사람이 있는 큰 셋집이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불편하더라도 오래된 집이라야 했다. 그리고 어디에 있든지 간에 질서정연하게 하는 감각에 의해, 그 장소를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었으며 그의 존재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었다. 그의 주위에는 물건이 몇 가지뿐이었지만, 꽃은 언제나 꽃병 아니면 화분 속에서 반짝이고 있었다. 아마 여성들이 선물한 것일 것이고, 아마 그 자신이 애정을 담아 갖고 온 것일 것이다. 책은 벽에서 빛나고 있었다. 책들은 훌륭하게 장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이로 정성 들여 커버를 씌웠다. 그는 책을 말하지 않는 짐승들처럼 사랑했기 때문이다. 책상 위에는 연필과 펜이 똑바로 놓여 있었고, 아무 것도 쓰지 않은 깨끗한 종이 다발은 정연하게 직사각형으로 쌓아 올려져 있었다. 그가 하는 모든 여행에 갖고 다닌다고 생각되는 러시아의 성화상과 가톨릭의 십자가가 일하는 방에 일종의 아련한 종교적인 성격을 띠게 하고 있었다. 물론 그의 종교성은 어떤 일정한 교리에 얽매여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 하나하나에서 그것들이 주의 깊게 선택된 것이며 애정을 쏟아 보관된 것임을 느낄 수 있었다. 그에게 그가 알지 못하는 책을 빌려 주면, 흠하나 없이 엷은 종이로 싸서 선물처럼 색깔 있는 리본으로 묶어 그 책을 다시 돌려주는 것이었다. 그가 나에게 귀중한 선물로 『사랑과 죽음의 노래』의 원고를 나의 방으로 가지고 왔을 때의 광경을 나는 오른날에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그것을 묶었던 리본을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멋진 것은 파리에서 릴케와 함께 산책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가장 눈에 띄지 않는 것들을 깨어난 눈으로 그것들의 의미를 새롭게 보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사소한 것도 주의 깊게 바라보았고, 간판에 쓰인 회사의 이름까지도 리드미컬한 울림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면 기꺼이 소리내어 입 밖에 내보았다. 이 파리라는 도시를 가장 구석진 곳과 깊숙한 곳까지 알아낸다는 것이 그의 정열이었으며, 내가 그에게서 인정한 거의 유일한 정열이었다.Stefan Zweig | 곽복록 옮김
《어제의 세계》

오늘 편지를 썼다. 쓰다 보니 이곳에 온 지 겨우 3주밖에 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3주간을 다른 곳, 가령 시골에서 보내게 된다면 하루처럼 짧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곳에서는 몇 해가 된 것 같다. 이제 다시는 편지를 쓰지 않겠다. 누군가에게 자신이 변해 가고 있다는 걸 무엇 때문에 알려야 하는가? 내가 변하면 나는 과거의 내가 아니다. 나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무엇이다. 그러니 이제 내게는 아는 사람이 없는 게 당연하다. 낯선 사람들에게, 나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편지를 쓸 수야 없는 것이지.
내가 이미 말했던가? 보는 법을 배우고 있다고. 그래, 나는 시작했다. 아직 서투르지만 시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려 한다.Rainer Maria Rilke | 문현미 옮김
《말테의 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