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들이란 이상한 존재들이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인간은 언제나 이 사실을 다소간 막연하게나마 알고 있었다.Jacques Monod | 조현수 옮김
《우연과 필연》

Bumblebees are well suited to a colder climate, with long, furry hairs. But that makes them more vulnerable to even small changes in temperature. Bumblebee populations have been hardest hit in warming southern regions such as Spain and Mexico, where some species already live near the edge of their temperature range. Sometimes bumblebees get so hot that they fall dead out of the sky, said University of Ottawa biologist Peter Soroye. “Bumblebees are disappearing from areas eight times as fast as they are recolonizing others.” And because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in wild landscapes (as well as for crops like tomatoes, squash, and berries), the decline of bumblebees ripples through ecosystems. Without a strong population of bumblebees in Montana, for example, the huckleberry bushes don’t get pollinated. Which means they don’t fruit. And because huckleberries are an important food for grizzlies, grizzlies have to look elsewhere for food—including dangerous journeys into the campsites of backcountry hikers.Jeff Goodell
《The Heat Will Kill You First》

멋진 나무들이 있는 오래된 분수, 값을 매길 수 없는 오래된 개인정원 유적, 푸른 덩굴이 있는 오래된 요새와 도시 성문, 그림처럼 아름답게 나무와 관목으로 둘러싸인 예배당 등 많은 선례들은 그늘에 훌륭하게 배치된 휴식광장과 더불어 도시 측량사가 직각자로 그린 동일한 너비와 직선을 가진 도로의 맨 처음 선을 통해 희생되었다. 대체 불가능한 손해는 바로 이러한 개별 지점들이다. 왜냐하면 자체적으로 점점 진행된 예술적이고 생생한 자생성은 대체될 수 없기 때문이다.Camillo Site | 김기준 옮김
《예술적 원칙에 따른 도시설계》

Remember, birds evolved to navigate and orient with the faint light of stars, not the pall of wasted illumination that bathes the night sky near even the most modest urban center——light that is visible to a flying bird from as far as 190 miles away. Nor can a bird really escape it; skies over at least 70 percent of the United States, and 40 percent of global land area, are so badly polluted by light that the Milky Way is no longer visible. Ornithologists have known for generations that artificial light disorients birds; as far back as the 1800s, lighthouse keepers described huge bird kills on foggy nights, when migrant songbirds battered themselves against the glass. Lighted skyscrapers remain a major cause of mortality during migration, so much so that campaigns have been launched in many cities to convince building managers to turn off the lights during the peak of migration, while volunteers each morning pick up the hundreds or thousands of dead and dying songbirds that have tumbled to the sidewalks below. Some 90,000 birds a year die from building collisions in New York City alone, where even the Tribute in Light—the 9/11 memorial each September that features two dazzlingly bright beams of light shining up from lower Manhattan—has proven to be a hazard to migratory birds. New York City Audubon raised the alarm when the tribute was first proposed in 2002, because September 11 coincides with the peak of passerine migration in the Northeast. Some years the heaviest flights have occurred on the same night as the tribute—as happened in 2010, when after days of rain dammed up migrants to the north, the skies cleared and birds flooded over New York the night of the Tribute. Rada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win beams concentrate migrants at 150 times the normal rate. Since 2005, New York City Audubon has had an agreement with the Tribute organizers that when monitors detect at least 1,000 songbirds, bewildered and trapped whirling within the beams, the spotlights are turned off for a period of time to allow the weary fliers to disperse.Scott Weidensaul
《A World on the Wing》

옛날에 요시로는 두껍고 큰 수건을 숭배했었다. 수건을 쓰고 세탁기에 욱여넣고는 아낌없이 세제를 쏟아부을 때마다 사치를 누리는 기분을 맛보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우습다. 불쌍한 세탁기는 무거운 수건 몇 장을 배 속에 담고 사방으로 우당탕거리며 돌리다가 끝내 완전히 지쳐서 삼 년이 지나면 과로사한다. 100만 대의 죽은 세탁기는 태평양 밑으로 가라앉아 물고기들의 캡슐 호텔이 되었다.多和田葉子 | 유라주 옮김
《헌등사》

It matters which thoughts think thoughts. We must think!
The unfnished Chthulucene must collect up the trash of the Anthropocene, the exterminism of the Capitalocene, and chipping and shredding and layering like a mad gardener, make a much hotter compost pile for still possible pasts, presents, and futures.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Pretty much every animal that encounters a squid tries to eat it. Even bears and wolves have been known to take advantage of the occasional beach stranding.
The poor things are born delicious. Squid produce huge numbers of offspring—from hundreds in some species to hundreds of thousands in others—nearly all of which are eaten before they grow up. When they hatch from their eggs, they’re smaller than your fingernail, so Baby’s First Predators are small too: fish larvae and aquatic worms.
But squid grow quickly, and in a matter of days or weeks those that survive turn the tables. Growing fat on their onetime adversaries, squid start to attract larger predators: seals and sea-birds, sharks and whales. The sheer scale of squid consumption is mind-boggling. Scientists once pumped the stomachs of sixty elephant seals from South Georgia and found 96.2 percent squid by weight. They calculated that the island’s elephant seal population scarfs down at least 2.5 million tons (2.3 million metric tons) of squid and octopuses every year. Meanwhile, a single sperm whale can eat 700 to 800 squid every day.
Rough luck for the squid. However, it earns them the dubious honor of being named “ecological keystones.” They start so small, grow so fast, and get so big that they provide abundant food for marine predators of every size—a “one-prey-fits-all” solution. Thus, many species of squid act as biological conveyor belts, moving energy from tiny plankton up to apex predators. Including humans.Danna Staaf
《Monarchs of the Sea》

일단 청어떼가 확인되고 나면 대개 밤에 잡아들이는데, 앞서 인용한 북해의 자연사 책에 의하면 길이가 60미터에 달하고 거의 이십오만마리의 물고기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어망이 사용되었다. 거친 페르시아산 비단으로 짠 이 어망은 경험상 청어들이 밝은색을 싫어한 탓에 검게 염색되었는데, 어망이 물고기들을 포위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벽처럼 물속에 서 있을 뿐이었기 때문에, 물고기들은 절망적으로 어망을 뚫고 나가려다가 아가미가 그물코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하고, 약 여덟시간에 걸쳐 어망을 끌어 올리고 감는 과정에서 질식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어가 물에서 끌어올려질 때는 이미 대부분 죽어 있다.W.G. Sebald | 이재영 옮김
《토성의 고리》

흔히 매미는 성충이 되어 지상에서 일주일밖에 살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유명한 매미학자인 카토(加藤正世, 1956)가 유지매미를 일정 범위 밖으로 도망가지 못하게 해놓고 관찰한 결과 탈피 후 5일 동안 생존한 개체가 가장 많았고, 7~10일 정도 생존한 개체가 약간 있었으며, 10일 이상 생존한 개체는 거의 없었다는 실험 결과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이러한 인위적인 공간 안에서의 관찰은 매미 성충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어 수명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실제 자연 속에서의 성충 수명은 더 길 것이라 생각한다. 매미를 산 채로 집 안에 가두어 놓으면 먹이가 있더라도 얼마 안 가 죽는 것을 볼 때 매미는 제한된 환경에서는 죽음에 이를 정도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이영준
《매미박사 이영준의 우리 매미 탐구》

달팽이는 주로 6~8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며, 밤보다는 낮에 그리고 비가 오는 날에 짝짓기를 한다. 달팽이가 비가 오는 날을 좋아하는 이유는 짝을 만나기 위해 먼 곳까지라도 이동을 해야 할 때 땅이나 나무가 젖어 있으면 쉽게 기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달팽이는 짝짓기 상대를 만나면 발의 앞부분을 들어 발바닥이 보이게 하고 상대방의 입과 더듬이를 문지른다. 이러한 행위는 약 30분간 이어지고, 상대방이 짝짓기할 준비가 되었다 싶으면, ‘연시(戀矢)’라고 하는 사랑의 화살을 상대방 몸통의 오른쪽이나 발 부분에 찔러 넣는다.권오길, 이준상 《달팽이는 왜?》

이끼와 같이 가장 작고 미세한 풀에 피는 꽃, 길가에 베 놓은 마름에 피어나는 꽃, 산길 바위 틈새에 핀 제비꽃 등은 감성적인 허무의 미학을 넘어 생명과 조화의 언어로 나타나고 있다. 작은 풀꽃이 밟힐까 두려워하는 시심詩心은 땅위의 생명 있는 것끼리의 연민의 정과 찰나를 사는 존재들 간의 교감의 순간을 나타낸 것이다.유옥희 《하이쿠와 일본적 감성》

캐번디시 이전에 가장 많이 먹던 바나나 품종은 그로미셸Gros Michel이었고, 그로미셸은 캐번디시보다 훨씬 맛이 좋았다고 한다. 그로미셸은 옛날 과일이 현대 과일보다 더 달콤한 흔치 않은 사례로, 식감도 훨씬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깊고 복합적인 와인 같은 풍미가 있었다. 얼얼할 정도로 달콤하고 깊은 향의 바나나 맛 사탕을 먹어본 적이 있다면 아마 그 맛은 캐번디시보다 그로미셸에 가까울 것이다. 문제는 그로미셸이 1950년대 파나마병을 전멸했다는 것이다.Bee Wilson | 김하현 옮김
《식사에 대한 생각》

노랑미친개미들은 언젠가 불현듯 나타났다. 이 섬에 방문한 인간과 함께 들어왔을 것이다. 이 침략자들은 몸 크기가 4밀리미터에 불과하지만, 가히 파괴적이다. 노랑미친개미들은 자기들끼리는 평화롭게 지낸다. 여왕개미들은 운명적인 조약을 체결해 군락을 하나로 합쳐 초강대국, 제국을 건설한다. 300마리에 달하는 여왕개미는 각자 대규모의 일개미 무리를 거느린다. 일개미들은 휘어진 긴 다리에 노란색 가는 몸통과 갈색 머리를 갖고 있다. 노랑미친개미들은 나무의 움푹 팬 곳과 갈라진 땅속 깊은 곳에 집을 짓고, 자신들의 먹이인 달콤한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곤충들을 키운다. 이 개미들은 몇 초마다 방향을 바꿔가며 미친 듯이 빠르게 움직이고, 그 와중에도 늘 공격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이 개미 떼의 희생양은 둥지에서 갓 태어난 부비새와 군함새 새끼들, 그리고 바다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붉은 게들이다. 노랑미친개미는 게들의 불타는 듯한 붉은색 등껍질에 개미산을 뿜어낸다. 게들은 처음에는 시력을 잃고, 그 다음에는 껍질의 선명한 붉은색을 읽으며, 사흘 후에는 급기야 죽고 만다. 이것이 크리스마스섬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이다.Judith Schalansky | 권상희 옮김
《머나먼 섬들의 지도》

보아스는 인종별로 분류한 해부학적 특징의 진화 행태로 인간의 행동과 적성을 설명해낼 수 있다는 생각에 점점 더 강력히 반대했다. 당시의 인류학자들은 인간의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100종 이상의 인간 종을 분류했고, 그 각각을 아예 다른 종족인 것처럼 취급했다. 각 인간 종이 등급이 매겨진 진화 단계에 각기 속하고 그중 유럽인이 인간 종의 이상적인 모습이라는 관념도 유지되고 있었다.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대표적인 것이 두개골의 크기였다. 그러나 수백 개의 인간 뼈대와 1만 7,000명 이상의 두개골 측정 수치에 기반을 둔 보아스의 연구는 그에 반하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머리 모양와 크기는 영양 및 건강 상태와 같은 환경적인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Lance Grande | 김새남 옮김
《큐레이터: 자연의 역사를 읽는 사람들》

새로운 인식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결에 관한 시각도 변화한다. 이제 청결하려면 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도 나지 않는 미생물과 싸워 이겨야 했다. 이제 더이상 몸에 묻은 검댕, 체취, 불편한 감정 때문에만 몸을 씻지 않게 되었다. 가장 깨끗한 물도 비브리오균을 함유할 수 있고, 백옥같이 흰 살결에도 박테리아가 기생할 수 있다. 더이상 감각만으로 ‘더러움’을 탐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Georges Vigarello | 정재곤 옮김
《깨끗함과 더러움: 청결과 위생의 문화사》

DDT의 용도는 무궁무진했다. 분말 형태로도, 여러 가지 액상 스프레이나 유화액 형태로도, 분무기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었다. 1945년부터 주부들은 백화점에서 DDT를 분무기 형태로 구입하기 시작했다. 이 분무기는 (나중에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밝혀진) 프레온을 추진제로 사용했는데, 제작사에서는 보통 크기의 공간일 경우 단 6초 만에 끝낼 수 있다고 큰소리쳤다. DDT는 철물점이나 식료품점에서 비누, 가구용 광택제, 선반에 까는 종이, 페인트, 옷감 처리액 따위의 제품과 함께 팔려나갔다. DDT는 잔디 깎는 기계의 머플러에 부착한 분무기를 이용해 잔디에 뿌릴 수도 있었다. 잔디를 깎을 때, 강한 유독물질도 자욱하게 살포하는 것이다. 항공기들이 가문비나무눈벌레나 매미나방 등 삼림 지대에 서식하는 해충을 없애기 위해 수백만 에이커의 숲에 DDT를 뿌렸다. 병원 부엌이나 네덜란드느릅나무병의 피해를 입은 주거 지역에도 사용했다. 남부에서는 아이들이 뇌염 발생 지역의 시가지를 돌며 DDT를 살포하는 트럭 꽁무니를 쫓아다니면서 뿌연 물질을 쐬기도 했다.William Souder | 김홍옥 옮김
《레이첼 카슨: 환경운동의 역사이자 현재》

이 도시의 모든 공원들 중에서도 꽃이 가장 많이 핀 곳은 묘지였다.Jean Grenier | 김화영 옮김
《섬》

Magritte was the most paradoxical of all the Surrealists. Where the others deliberately created scandal in life, he tried to remain outwardly inconspicuous. In more than one sense it could be said that Magritte's artistic biography ended when he left Paris in 1930. After his return to Brussels his life became more and more that of an ordinary bourgeois. He hated travelling; and he lived with only his imagination geared to change. It was as if he were deliberately trying to obscure himself from worldly success under the protective coloration of conventionality. His desire to live without history (even his own) and without style, was a calculated choice to render himself invisible - perhaps in the manner of Fantômas. There was nothing unusual about his physical appearance; he resembled nothing so much as the nondescript bowler-hatted man who appears in his pictures. By choice his life was outwardly uneventful, and consisted of a modest network of regular habits: the daily morning walk with his Pomeranian dog Loulou to buy groceries, an afternoon visit to the Greenwich Café where he would sit for hours engrossed among the chess-players, the ritual Saturday gathering of a few friends. The house in which he lived, along with the others surrounding it, resembles the houses in his paintings - a fact as touching, Scutenaire has observed, as it is unimportant.
Inside, it was filled with department store antiques, comfortable sofas and chairs, china vases, Oriental rugs and a baby grand piano. Magritte never had a special studio, but painted in the boudoir which adjoined the bedroom. (In previous houses he used to work in the kitchen or the dining-room - there was only an easel, a tray of paints and brushes, and a few bits of charcoal for sketching on the canvas, with hardly any outward trace of activity.) In many ways he seemed to live hypothetically, almost as if he doubted the existence of the external world. All the same he had a taste for fake situations, and was a master of the practical joke.Suzi Gablik 《René Magritte》

The inhuman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cities can be understood as the consequence of the negligence of the body and the senses, and an imbalance in our sensory system. The growing experiences of alienation, detachment and solitude in the technological world today, for instance, may be related with a certain pathology of the senses. It is thought-provoking that this sense of estrangement and detachment is often evoked by the technologically most advanced settings, such as hospitals and airports. The dominance of the eye and the suppression of the other senses tends to push us into detachment, isolation and exteriority. The art of the eye has certainly produced imposing and thought-provoking structures, but it has not facilitated human rootedness in the world.Juhani Pallasmaa
《The Eyes of the Skin》